• 2023. 10. 3.

    by. LeeMinho

    반응형

    학점은행제는 평생교육법에 의거하여 운영을 하고 있는 제도로서 고졸 학력 이상이라면 누구나 학교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과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일정 기준을 충족하시면 대학과 동등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저도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최근에 학점을 이수받아 국가자격증 시험을 응시하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반 학사를 취득하는 것보다 편하고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한 학점은행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학점은행제 안내 동영상

    학점은행제의 정의

    학점은행제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으며 학점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학위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열린 학습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또한 학점은행제는 평생학습체제 실현을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서 학교교육은 물론 다종다양한 평생교육의 학습결과를 사회적으로 공정하게 평가인정하고, 그 교육의 결과를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간에 상호 인정해 주면서 이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를 맺도록 함으로 개개인의 학습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학점은행제를 보다 쉽게 설명한 이미지
    학점은행제 설명 이미지

    학점은행제는 취득하면 일반 4년제 학사와 같은 효력을 가지고있어 국가자격증 시험부터 4년제 대학교의 학사가 필요한 경우에 전부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의 종류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취득할 수 있는 학위는 2년제 전문대졸업 자격과 동등한 전문학사가 있으며, 또한 4년제 대학교 졸업 자격과 동등한 학사가 있습니다. 

    학위종류 전문학사 학사
    전공 45학점 60학점
    교양 15학점 30학점
    총 학점 80학점 140학점

     

    학점은행제 전문학사는 전공 45학점이상 취득, 교양 15학점이상 취득하여 총 80학점을 취득하시면 되며,

    학점은행제 학사학위는 전공 60학점이상 취득, 교양 30학점이상 취득하여 총 140학점을 취득해 주시면 됩니다.

     

    학점인정 대상

    학점은행제에서 학교의 수업 이수 외의 다양한 학습경험을 학점으로 인정을 받을수 있다고 하였는데요, 그러면 인정되는 학점의 종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평가인정 학습과정

    교육부로부터 평가인정 승인 받은 교육훈련기관(대학부설평생교육원, 직업전문학교, 학원, 각종 평생교육시설 등등)에서 개설한 학습과목을 의미합니다.

     

    2. 학점인정대상학교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정하는 학교 또는 평생교육시설에서 제적 혹은 졸업한 학점을 인정해줍니다.

     

    3. 시간제 등록

    대학에서 대학 입학자격이 있는 일반인에게 해당 학교의 수업을 이수하게 하는 제도로써 각 학교의 학칙에 의거하여 운영합니다.

     

    4. 자격

    교육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국가평생 교육진흥원장이 고시한 자격
    * 자격 학점인정 기준은 매년 고시되므로 기준을 반드시 확인하시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5. 독학학위제

    독학학위제 과정별 시험에 합격하였거나 아니면 면제교육과정으로 이수한 과목에 한에서 인정됩니다.

     

    6. 국가무형문화재

    문화재청장이 지정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및 그 문하생의 전수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다면 그 학위는 인정해 줍니다.

     

    학점은행제 이용 시 주의사항

    학점인정을 받는 학점을 취득하였어도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1년/1학기에 인정받을 수 있는 학점의 제한

    연간 인정 제한 학점 학기당 인정 제한 학점
    최대 42학점 최대 24학점

    하지만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고 제한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한 있음(수업을 통해서 취득한 학점) 제한이 없음(수업이외의 방법으로 취득)
    1. 평가인정 학습과정
    2. 시간제 등록
    3. 독학학위제 시험면제 교육과정
    4. 학점인정 대상학교
    1. 자격취득으로 인한 학점
    2. 독학학위제 시험합격으로 인한 취득 학점
    3. 국가무형문화제

     

    학점은행제의 학기구분

    1년은 당해 3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일까지를 의미하고, 1학기는 3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2학기는 9월 1일부터 다음해 2월 말일까지로 구분합니다. 또한 이는 수업이 끝나는 날(종강일)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학점은행제 학기의 구분 연간,학기간
    학점은행제 학기의 구분

    학점은행제에 대한 인지도가 요즘 너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인지도가 많아지는 때문에 학습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그에 따른 잘못된 학습설계를 하고 부실한 관리를 해주어서 과락을 하고 불필요한 과목을 이수하는 사례도 많이 발생하는데요. 좋은 플래너를 만나는 것도 좋지만 본인이 하기 전에 충분하게 알아보고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